기장생협,'생명농사,밥상공동체 실현'
페이지 정보
본문
기장생협, '생명농사, 밥상공동체 실현'
▲ 8일 기장생협 발기인 예배에는 도시와 농촌 목회자, 교인들이 참석해 생명운동을 위한 생협운동을 다짐했다. ⓒ에큐메니안 |
예배에 앞서 여태권 목사(기장생협기획단 총괄팀장)는 “유기농에 대해 정부나 기관에서 인증하는 것이 아닌 목회자들이 보증하는 것으로 서로에 대한 믿음이 없이는 성공할 수 없다.”며 “농민들이 생산한 먹거리를 기쁜 마음으로 드신다면 기장이 공동체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생명살림의 밑돌을 놓으라’는 주제로 시작된 발기인 예배는 기장생협의 탄생을 축하하는 많은 도시와 농촌의 목회자, 교인들이 함께 했다. 이들은 ‘인간의 죄로 억눌린 자연 만물이 소생하길 바라며, 생명살림 감수성으로 성숙되고, 도시와 농촌 교회가 생명선교를 이룰 수 있게 되길’ 함께 기도했다.
말씀을 전한 기장 총회장 박동일 목사는 “기장의 역사는 하나님의 부름에 응답한 신앙의 역사”라며 “사회적 공신력과 도덕성이 추락한 이 때, 기장의 역사에서 해오던 여성과 인권, 노동, 환경운동을 폭넓게 확대해 가야 한다.”고 전했다.
▲ 발기문을 낭독하고 있는 소비자 대표 김가은 장로(기장 여신도회전국연합회 회장, 우), 생산자 대표 김태환 집사(정남진교회). ⓒ에큐메니안 |
기장생협의 출범을 축하하기 위해 참석한 한국기독교생명포럼 한경호 목사는 “그 동안 벌여온 기장의 생명운동이 마침내 오늘과 같은 결실을 보게 된 것은 매우 축하할 일”이라며 “생협은 생명운동이며, 자신들을 생명적 세계관으로 바꾸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기장총회 총무 배태진 목사도 “기장생협은 약자를 살피시는 예수 그리스도의 정신이 새겨진 운동이며, 정의, 평화, 생명 운동을 구체화한 것”이라며 “이 땅에 하나님 나라를 이끌어 내는 영적운동”으로 규정했다.
덧붙여, 그는 “생협을 통해 온 피조물을 긍휼히 여기시는 예수님의 마음이 더 푸르게 흐를 수 있게 되길 바란다.”며 기장생협에 대한 기대감을 전했다.
▲ 생협운동을 다짐하면서 발기인들은 자신의 이름을 봉헌하는 의식을 가졌다. ⓒ에큐메니안 |
기장생협 발기인 모임은 발기문을 통해 ‘그리스도 정신에 의한 생명공동체’를 이루고, ‘김재준 목사의 생활신앙’, ‘밥상공동체를 통해 이웃 사랑의 생명농사를 살려내 농촌교회, 농민과 생명의 기운을 나눌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생협은 ‘기본적인 먹을 거리를 나누는 <기본밥상 공동체> 실협’, ‘생명농사 실현’, ‘농촌과 도시 간의 직거래 체계화’를 목표로 내세웠다.
▲ 기장생협 발기인들의 이름을 붙여놓은 전시물, 기장생협은 현재 약600여 명의 목회자와 교인들이 함께 하고 있다고 밝혔다. ⓒ에큐메니안 |
고수봉 gogo990@hanmail.net
관련링크
- 이전글경인기장협동조합 출범 18.07.13
- 다음글기장생협 창립 교단생협 어디까지 왔나 18.07.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